분류 전체보기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요약(별책42) 창의적 체험활동이란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와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앎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심신을 조화롭게 발 달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교과 이외의 활동이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 창의적 체험활동은 초・중등학교 학생들이 건전하고 다양한 집단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나눔과 배려를 실천함으로써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개인의 소질과 잠재력을 계발・신장하여 창의적인 삶의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창의적 체험 활동의 구성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4개 영역으로 구성한다. 1 . 자율활동은 자치・적응활동, 창의주제활동 등으로 구성한다. 2. 동아리활동은 예술・체육활동, 학술문화활동, 실습노작활동, 청소년단체활동 등으로 구성한다. 3. 봉사활동은 이웃돕기활동, .. [역사 탐구] 싸울 것인가, 항복할 것인가(척화파 vs 주화파) [역사 탐구] 싸울 것인가, 항복할 것인가(척화파 vs 주화파) [역사 신문] 세도 정치의 폐단이 드러나다 세도 정치 시기에 관리들의 부정부패가 심해지면서 전세(전정), 군포(군정), 환정(환곡)으로 이루어진 삼정이 문란해졌고, 이로 인해 농민들이 고통을 받았다. 사회 불안이 심해지자 조선 조정은 암행어사를 파견하여 삼정의 문란을 개선하려고 노력하였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위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문제를 풀어볼까요? [카드 뉴스] 후금의 3만 군사가 몰려오다! 인조와 서인 정권은 명을 가까이하고 후금을 멀리하는 친명배금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 무렵 후금은 명과의 교역이 중단되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또한 명의 군대가 평안도 가도에 주둔하여 후금은 배후를 위협받고 있었다. 이에 후금은 경제적 어려움에서 벗어나고 명군을 제거하고자 조선을 침략하였다(정묘호란, 1627). 후금의 군대가 황해도에 이르자 인조는 강화도로 피신하였고, 조선의 관군과 의병은 후금에 맞서 싸웠다. 하지만 조선은 후금의 공격을 막을 힘이 없었고, 후금도 명과의 오랜 전쟁으로 조선과 오래 싸우기가 어려웠다. 결국 후금은 조선과 형제의 관계를 맺고 물러났다. [톡톡 한국사]삼국의 통치 체제 정비(중앙 집권 국가의 성립 조건) 국가의 발전 과정은 대체로 연맹 왕국으로 출발하여 중앙 집권 국가로 성장해 간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도 처음에는 5부와 6부 집단이 연합한 연맹 왕국에서 출발하였으나, 점차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였다. 다음을 통해 삼국이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공통점을 알아보자. 위에서 배운 내용을 문제로 풀어볼까요? "어쩌면 태양계 행성 배열에 숨은 법칙이 있을지도 모른다" - 태양계 행성 추가학습 [티티우스-보데 법칙] * 이 콘텐츠는 '태양계' 학습 가운데 '행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수업 시작 시 보여 주시거나, 생각할 거리를 던져 주는 용도로 수업의 마무리 시에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티티우스-보데 법칙은 일명 '보데의 법칙'이라 합니다. 티티우스가 먼저 주장했으나, 이후에 동료였던 보데가 널리 알렸기 때문입니다. 고대 그리스로부터 이어온 행성 배열에 관한 법칙 발견에 관한 열망이 18세기에 와서야 구체적으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이론과 실증을 통한 식은 아니었지만, 경험식(경험을 통해 도출한 식)이 들어 맞는다는 점만 해도 대단한 일이었습니다. 티티우스-보데 법칙은 천왕성과 세레스의 발견에 큰 영향을 끼쳤고, 태양계 행성의 배열에 관한 고민을 덜어 주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모둠 활동] 디지털 기기 활용 모둠 활동(초등학교 5학년 융합 과목_과학, 수학, 사회) 만약 태양이 우리 학교 운동장만 하다면, 태양계를 구성하는 각 행성들은 우리 학교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을까? 다음 활동을 통해 알아보자. ➊ 4~6명으로 모둠을 구성한다. ➋ 인터넷을 활용하여 태양과 태양계를 구성하는 각 행성의 크기를 알아보고, 태양으로부터 각 행성의 거리를 조사하여 작성한다. ➌ 태양의 지름이 100m로 보았을 때, 각 행성의 상대적인 지름을 구해본다. ➍ 태양의 지름이 100m로 보았을 때, 태양으로부터 각 행성의 상대적인 거리를 구해본다. ➎ ➍에서 구한 거리를 기준으로, 우리 학교에서 각 행성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도시를 지도앱을 활용하여 찾아보자. www.google.com/maps/d/edit?mid=1ss-Npguhk1aKBeyo6Uax7gfGuGOIfL0g&usp.. [플랫폼] 그림을 그리는 중 소비자(교사, 학생)가 사용하는 플랫폼. 이것을 하겠다는 것! 너무나 단순하다. 어떻게? 문제는 단순하지만. 해결은 쉽지 않다. '유튜브'처럼 자발적으로 콘텐츠가 생산되고, 유통될 수 있을까? 플랫폼의 목적지는 비슷하리라 생각된다. 얼마 전 KT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연을 보았다. 여러 기능을 잘 갖춘듯한데... 정작 콘텐츠 얘기는 빠져 있었다. 거기까지는 생각이 미치지 못한 듯하다. 너무나 단순한 문제... 양질의 콘텐츠를 갖추고, 사용이 편한 저작도구를 구비해 사용자를 모으는 것. 이 정도를 몰라서 못했을까? 아마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못한 것이라 생각된다. 웹사이트 하나 잘 만들어 할 수 있는 거라면, 안 할 이유가 없는 사업이다. 쌓인 문제가 산더미이다. 하나하나 해결하는 수밖에... .. 이전 1 2 다음